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는 1978년 개통된 평양-원산 관광도로를 시작으로 건설되었다. 주요 고속도로로는 평양-원산, 평양-개성, 평양-희천, 청년영웅도로 등이 있으며, 대부분 평양을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다. 고속도로는 노면 상태가 열악하고 안전 시설이 미비하여 사고 위험이 높으며, 건설 과정에서 강제 동원과 열악한 노동 환경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평양-신의주, 원산-함흥 고속도로 등 미완공 구간이 있으며, 아시아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노선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 - 평양강동고속도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 - 평양개성고속도로
평양개성고속도로는 평양직할시와 개성특급시를 연결하며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일부를 이루는 고속도로이다. - 나라별 고속도로 - 아우토반
아우토반은 1920년대에 구상되어 나치 시대에 본격적으로 건설된 독일의 고속도로로,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고속도로 네트워크이며 현재는 속도 제한 구간과 비제한 구간으로 운영된다. - 나라별 고속도로 -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
중화민국의 일반 국도는 1964년 최초의 고속도로 개통 이후 남북 및 동서 방향의 다양한 노선으로 발전해 왔으며, 유료가 일반적이지만 공공성 및 기능적 중요성으로 무료 구간도 존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리에 관한 - 두만강
두만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러시아의 국경을 이루는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강이며, '두만'이라는 명칭은 만주어 '투먼'에서 유래되었고, 녹둔도는 역사적 영토 분쟁 지역이며, 탈북민들의 주요 경로이자 중국의 치어 방류로 생태계 위협 문제도 야기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리에 관한 - 간도
간도는 고구려, 발해 등의 영토였으며 여진족 거주지였고,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조선 농민들이 이주하여 거주했으나 현재는 중국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영유권 분쟁은 중조변계조약으로 종식되었지만 두만강 위치와 '토문' 명칭 해석 차이로 한국 내 논쟁의 여지가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 | |
---|---|
개요 | |
국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도로망 | 고속도로 |
현황 | |
총연장 | 682 km (2017년 기준) |
관리 주체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설교통성 |
노선 | |
노선 번호 체계 | 없음 (고유 명칭 사용) |
주요 노선 | 평양원산고속도로 평양희천고속도로 평양남포고속도로 원산금강산고속도로 사리원해주고속도로 해주연안고속도로 청진라선고속도로 |
기타 정보 | |
제한 속도 | 승용차: 80km/h 버스 및 화물차: 70km/h |
통행료 | 무료 |
특징 | 대부분 2차선 (왕복 4차선) 중앙분리대 미설치 구간 존재 휴게소 부족 교통량 적음 |
관련 이미지 | |
![]() | |
![]() | |
![]() | |
![]() |
2. 역사
북한에서 고속도로 정비는 매우 늦어져 2014년 조사에서 고속도로 총 연장은 729km이다. 이는 한반도 남부를 영유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총 연장(4139km)의 20%에도 미치지 못한다.[6] 2000년부터 2014년까지 북한은 5km의 고속도로를 건설하였고, 한국에서는 약 2000km의 고속도로가 새롭게 건설되었다.[6] 북한내에서 교통량은 드물고, 대부분 개인 운송업 차량이나 관광 목적의 버스이며, 자가용 등 다른 차량은 거의 다니지 않는다.[7]
옅은 색은 계획 노선]]
북한 최초의 고속도로는 1978년에 개통된 평양원산관광도로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 평양개성고속도로, 원산금강산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2000년대 이후 고속도로 건설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으며, 평양신의주고속도로(건설중), 원산함흥고속도로 등이 건설 중이다.
통행료는 기본적으로 무료[7]이지만, 2018년 1월 20일부터 평양원산관광도로에서는 통행료를 징수하게 되었다.[8] 제한 속도는 설정되지 않은 구간[7]과 100km/h와 같은 지정 구간[9]이 존재하지만, 노면 상태가 좋지 않아 속도를 내면 위험하다.
북한에는 아시아 고속도로가 3개 노선 선정되어 있으며, 이 중 1호선과 6호선에는 일부 고속도로가 지정되어 있다.[10]
옅은 색은 계획 노선
3. 특징
북한에서는 자동차 소유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어, 일부 특권 계층(군인, 정부 고위 관리 등)을 제외하고는 개인 차량을 소유할 수 없다.[1] 정규적인 방법으로는 운전면허 취득이나 자동차 구매가 어렵고, 각종 기관에 뇌물을 지불해야 한다고 한다.[2][3] 북한에서는 목탄 자동차가 다닐 정도로 연료 부족 현상이 심각하여, 2007년 기준으로 국내 전체 승용차는 약 2만 대에 불과하다.[4] 개인의 장거리 이동은 주로 철도나 장거리 버스를 이용하며, 외국인과 국민 모두 국내 이동에 제한이 있어 자유로운 여행이 어렵다.[5]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북한의 고속도로 정비는 매우 늦어져, 2014년 조사에서 고속도로 총 연장은 729km로 대한민국의 4139km의 20%에도 미치지 못한다.[6] 2000년부터 2014년까지 북한은 5km의 고속도로를 건설한 반면, 한국은 약 2000km를 건설하여 총 연장을 약 2배로 늘렸다.[6] 북한 고속도로의 교통량은 드물고, 대부분 개인 운송업 차량이나 관광 버스이며, 자가용 차량은 거의 다니지 않는다.[7]
통행료는 기본적으로 무료이지만,[7] 2018년 1월 20일부터 평양-원산 관광도로에서는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8] 제한 속도는 구간별로 다르며,[7][9] 노면 상태가 좋지 않아 고속 주행은 위험하다.
북한에는 아시아 고속도로 3개 노선이 선정되어 있으며, 이 중 1호선과 6호선 일부 구간이 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있다.[10]
일부 구간은 비상시 활주로로 사용하기 위해 도로 폭을 넓게 확보했다.
3. 1. 노면 상태
다른 나라에서 "고속도로"라고 하면 자동차가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포장하는 등 양호한 노면 환경을 갖추고, 분리대·상하선을 분리하고 보행자 등의 진입을 막는 등 안전 대책을 마련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러한 정비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노면에 구멍이 뚫린 곳이 많고, 보수는 이루어지고 있지만 제대로 되지 않고 거의 방치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보행자 등이 고속도로에 들어오는 것은 비교적 쉬우며 통행인도 많다. 그중에는 개인 운송업 차량을 이용하기 위해 고속도로 차선에서 손을 흔드는 사람도 있어 충돌할 가능성이 높고 매우 위험하다. 고속도로에는 보도가 따로 없다. 겨울철에 노면이 얼었을 때는 안전을 위해 속도를 줄인 결과, 평상시보다 2배 이상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11] 열악한 노면 상황으로 인해 끔찍한 사망 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12]
2019년에 실시된 남북 공동 조사에서는 평양개성고속도로가 노후화 및 시공 불량으로 인해 매우 상태가 나쁜 것으로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문제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현대화가 시급하다고 결론지었다.[13]
3. 2. 건설 과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속도로 건설에는 군인뿐만 아니라 범죄자, 정치범, 지역 주민 등이 강제 동원된다. 2011년 보도에서는 손으로 돌을 나르는 주부가 건설 현장에서 목격되기도 했다.[14]
건설 현장은 열악한 환경으로, 충분한 안전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아 노동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2019년 10월 보도에서는 건설 중인 원산-함흥 고속도로에서 2019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30명 이상의 노동자가 사망했다는 보도가 있었다.[15] 또한, 선전을 위해 기념일에 맞춰 무리한 일정을 강요한 결과, 날림 공사로 인해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1989년 4월 14일, 황해북도 금천군에서 예성강에 놓인 평양-개성 고속도로의 다리를 날림 공사로 건설하던 중 갑자기 건설 현장이 붕괴되어 500명 이상의 노동자가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16]
4. 노선
북한의 고속도로는 대부분 평양을 기점으로 방사형으로 뻗어 있다. 주요 고속도로와 건설 중인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16][17][18][19][20][21]
노선명 | 조선어 명칭 | 총 연장 (km) | 준공 연월일 | 기점 | 종점 | 비고 |
---|---|---|---|---|---|---|
평양-원산 관광도로 | 평양원산관광도로한국어 | 190 | 1978년 9월 2일 | 평양시락랑구역 | 강원도원산시 | 북한 최초이자 유일한 유료 도로(2018년 1월)[8] |
평양-개성 고속도로 | 평양개성고속도로한국어 | 160 | 1992년 4월 12일 | 평양시 락랑구역 | 개성특별시 | |
평양희천고속도로 (평양-향산 관광도로) | 평양희천고속도로한국어 (평양향산관광도로한국어) | 138 | 1995년 10월 21일 | 평양시 순안구역 | 자강도희천시 (계획) | 평양에서 향산군까지 구간은 평양-향산 관광도로, 순안구역 내에서는 평양-순안 고속도로라는 통칭이 있음. 평안북도 향산군에서 희천시(종점)까지는 미완성. |
청년영웅도로 (평양-남포 고속도로) | 청년영웅도로한국어 (평양-남포간 고속도로한국어) | 49 | 2000년 10월 | 평양시 보통강구역 | 남포특별시 | |
원산금강산고속도로 | 원산금강산고속도로한국어 | 114 | 1989년 | 강원도 원산시 | 강원도 고성군 | |
사리원신천고속도로 | 사리원신천고속도로한국어 | 33 | 1996년 | 황해남도사리원시 | 황해남도신천군 | |
평양신의주고속도로 | 평양신의주고속도로한국어 | 387 | 건설중 | 평양시 | 평안북도신의주시 (조중우의교) | 2014년 4월부터 건설 시작, 완공 예정일은 미정. |
평양강동고속도로 | 평양강동고속도로한국어 | 33 | 년월일 불명 | 평양시 대성구역 | 평양시 강동군 | |
원산-함흥 고속도로 | 건설중 | 강원도 원산시 | 함경남도함흥시 (추정) | 2019년 4월부터 건설 시작, 2022년 완공 예정 | ||
남방-청진 고속도로 | 47 | 건설중? | 중화인민공화국연변 조선족 자치주 룡정시 | 함경북도청진시 | 중화인민공화국 연변 조선족 자치주 룡정시와 청진항을 잇는다. 2011년 시점에서는 2015년까지 신설될 예정이었다. |
4. 1. 아시아 고속도로
북한에는 아시아 고속도로가 3개 노선 선정되어 있으며, 이 중 1호선과 6호선에는 일부 고속도로가 지정되어 있다.[10] 특히, 평양개성고속도로는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 전체 구간에 해당한다.노선명 | 조선어 명칭 | 총 연장 (km) | 비고 |
---|---|---|---|
평양-원산 관광도로 | 평양원산관광도로한국어 | 190 | 전 노선이 AH-6의 지선으로 지정. |
평양-개성 고속도로 | 평양개성고속도로한국어 | 160 | 전 노선이 AH-1으로 지정. |
평양-향산 관광도로 (평양희천고속도로) | 평양향산관광도로한국어 (평양희천고속도로한국어) | 138 | 평안북도안주시까지 구간은 AH-1으로 지정. |
원산-금강산 고속도로 | 원산금강산고속도로한국어 | 114 | 전 노선이 AH-6으로 지정. |
평양-신의주 고속도로 | 평양신의주고속도로한국어 | 387 | AH-1 중 안주 - 신의주 구간은 고속도로가 없어, 분단 구간 해소가 기대됨. |
원산-함흥 고속도로 | AH-6 중 원산 - 함흥 - 라선 간은 고속도로가 없어, 분단 구간의 일부 해소가 기대됨. |
참조
[1]
웹사이트
北朝鮮が自動車の「個人所有」に対する摘発を強化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20-07-04
[2]
웹사이트
Traffic Rules in N. Korea
https://world.kbs.co[...]
KBSワールド
2020-10-08
[3]
웹사이트
Car ownership in North Korea on the rise
https://www.dailynk.[...]
デイリーNK
2017-02-12
[4]
웹사이트
北朝鮮のマイカーは米の自家用ジェット機に相当-成功示す究極の象徴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2007-07-10
[5]
웹사이트
北朝鮮、悪名高い国内移動制限を大幅緩和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8-12-28
[6]
웹사이트
PART IV: SECTORAL CONDITIONS IN NORTH KOREA,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TRANSPORT INFRASTRUCTURE IN NORTH KOREA FOR UNIFICATION AND BEYOND
http://keia.org/site[...]
2021-03-29
[7]
웹사이트
原創這是北韓“高速公路”:不收費、不限速、不封閉
https://www.bishuhot[...]
2020-11-02
[8]
웹사이트
俄罗斯驻朝大使馆:朝鲜高速公路要收费了,1月20日开始
https://www.thepaper[...]
澎湃新聞
2018-01-18
[9]
웹사이트
カメラがとらえた北朝鮮 地方都市のいま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12-09-13
[10]
웹사이트
アジアハイウェイ/北朝鮮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1-03-29
[11]
웹사이트
軍事目的には使えない?穴ボコだらけの北朝鮮高速道路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21-03-29
[12]
웹사이트
有力スポーツチームの選手ら死傷…北朝鮮で事故
https://www.excite.c[...]
2020-05-27
[13]
웹사이트
北朝鮮の京義線道路 老朽化・施工不良で事故の危険性も=南北共同調査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9-03-29
[14]
웹사이트
北朝鮮の主婦、なぜ手作業で石を運ぶの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03-30
[15]
웹사이트
台風の現場で労働者を殺した「金正恩命令」の矛盾点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
2019-10-17
[16]
웹사이트
【再現ルポ】北朝鮮の橋崩落事故、500人死亡の阿鼻叫喚…人民を死に追いやる「鶴の一声」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
2015-10-12
[17]
웹사이트
平壤至新義州高速公路或將由中方修建
http://hk.crntt.com/[...]
中国評論通信社
2010-09-01
[18]
웹사이트
中国将在朝鲜建设纵贯高速和高铁
https://www.rfa.org/[...]
ラジオ・フリー・アジア
2013-12-23
[19]
웹사이트
元山-咸興高速道路 中国企業が建設か
http://world.kbs.co.[...]
KBSワールド
2019-01-16
[20]
웹사이트
朝鮮半島情勢の変化と韓国・北東アジアの将来(2) ─非核化後の経済関係の変化に注意─ p.42
https://www.jri.co.j[...]
日本総研
2021-03-29
[21]
웹사이트
中国と北朝鮮、清津港の共同開発を本格化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